
타인에게 좋은 친구가 되는 방법
* 타인에게 관심을 가져라.
* 마음을 열어라. 자신은 좀 더 내보여야 한다.
* 친구들과 새로운 도전을 하라. 또 그들과 공동의
목표를 가져보는 것도 좋다.
* 자신있게 행동하고 활동적으로 생활하라.
* 남들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 되라.
* 긍정적인 의사 소통을 하라.
음성의 높낮이나 크기를 조절하여...
* 눈을 맞춰라.
* 먼저 말을 걸어라.
* 귀담아 듣는 법을 배워라.
* 친구들을 거울로 삼아 자신을 들여다 보라.
* 극단적으로 반응하지 말라.
* 혼자 있는 것에 익숙해져라.
* 용서를 배워라.
* 사회생활로 친분을 쌓은 사람들과만
사귀는 태도를 버려라.
* 친구에게 충고를 해줘라.
하지만 친구에게 충고하기 전에
그가 듣고 싶어하는지를 먼저 물어보아라
만인을 행복으로 이끄는 비법은 없지만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기술은
분명 존재한다는 것이 행복 이론의 기본 전제다.
행복이란 바이올린 연주나 자전거타기처럼
"일부러 익혀야 하는 기술"이요,
"연습할수록 느는 삶의 습관"이다.
또 물질적 충족보다는 정신적 투자에 가치를 둔다.
예컨대, 복권 당첨자의 행복한 시간은
5년 정도뿐이고 그 이후에는 다시 당첨 전의
심리 상태로 돌아간다고 한다.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면 여분의 돈이 더 있다고
해서 인생이 더 행복해지지는 않는다."
심리테스트에서 행복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온
사람이 독감백신을 맞았을 때 항체생성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50%가 더 높다든가, 어렸을 때 많이 활짝 웃었던 여성이
나이 먹어서도 더 행복한 삶을
산다는 학계 보고도 있다.
"여럿이 있을 때 웃는 경우는 혼자 있을 때의 30배"라든가,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감정적으로
매우 잔인할 때가
있는데 그것은 가족이 우리를 버릴리가 없다는 생각으로 가장 공격적인 충동을
배출하기 위해 가족을 이용하고 학대한다"
라는 내용은 평소 간과하기 쉬운 부분으로 가슴에 새기면 좋겠다.